[Oracle] 오라클 정수 반올림, 버림 방법 (ROUND, TRUNC)
- 데이터베이스/오라클
- 2024. 8. 13.
오라클 SQL에서 정수를 반올림하기 위해서는 ROUND 함수를 사용하고, 정수를 버리기(절사)를 할 때는 TRUNC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. 소수점을 반올림할 때는 반올림 위치를 양수로 지정하지만, 정수를 반올림하거나 버림을 할 때는 음수를 사용하여 위치를 지정한다. 아래의 반올림, 버림 위치 예시 이미지를 참고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.
목차 |
정수 반올림 방법 (ROUND 함수)
SELECT ROUND(123456, -1)
, ROUND(123456, -2)
, ROUND(123456, -3)
FROM dual
![]() |
정수를 반올림하기 위해서는 ROUND 함수를 사용하고, 반올림 위치를 음수로 지정한다. 해당 위치의 값이 5 이상인 경우 반올림을 하고, 5 미만인 경우 내림(이하 숫자 제거)을 한다.
SELECT ROUND(1234.67, -1)
, ROUND(1234.67, -2)
FROM dual
![]() |
소수점 값이 있는 경우도 정수 반올림이 가능하다.
정수 버림 방법 (TRUNC 함수)
SELECT TRUNC(123456, -1)
, TRUNC(123456, -2)
, TRUNC(123456, -3)
FROM dual
![]() |
특정 위치부터 정수를 버리기 위해서는 TRUNC 함수를 사용하며, 위치는 음수로 지정한다. 해당 위치부터 이하의 숫자를 제거한다고 생각하면 된다. (반올림하지 않고 모두 제거)
SELECT TRUNC(1234.67, -1)
, TRUNC(1234.67, -2)
FROM dual
![]() |
소수점 값이 있는 경우에도 해당 위치부터 소수점까지 모든 숫자를 제거한다.
[Oracle] 오라클 ROUND 함수 사용법
오라클 SQL에서 소수점 자리수를 지정하기 위해서 ROUND 함수를 사용한다. ROUND 함수는 특정 소수점을 반올림하고 나머지를 버리는 함수 이다. 소수점을 반올림하지 않고 절사만 원한다면 TRUNC 함
gent.tistory.com
[Oracle] 오라클 TRUNC 함수 사용법
오라클에서 소수점을 절사(버림)하거나 날짜의 시간을 절사 하기 위해서는 TRUNC 함수를 사용한다. 소수점, 시간 등 단순한 절사 방법 외에 TRUNC 함수의 옵셥을 사용하여 다양한 절사 방법이 있으
gent.tistory.com